본문 바로가기
행성지리

우주의 별 출산율, 30분의1로 격감

by GEOSTAR 2012. 11. 9.

우주의 별 출산율, 30분의1로 격감

(서울=연합뉴스) 우주에서도 요즘은 새로 태어나는 아기 별들을 보기가 전보다 훨씬 힘들어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6일 최신 연구를 인용 보도했다.

유럽과 일본 등 국제 연구진은 우주의 별 탄생 전성기였던 110억년 전에 비해 요즘 새로 태어나는 별 수는 97%가 줄어들었으며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영국 천문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영국의 적외선망원경(UKIRT)과 칠레 소재 극대망원경(VLT) 및 하와이의 쓰바루 망원경을 이용해 각기 다른 거리, 즉 다른 시간대를 망라하는 역대 최대규모의 별 탄생 은하 지도를 작성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

공인된 우주 진화 모델에 따르면 우주에서 별이 태어나기 시작한 것은 빅 뱅 후 약 300만년이 지난 134억년 전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별들은 우리 태양의 수백배가 넘는 질량을 갖고 있어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괴물' 수준이다.

이들은 그러나 노화가 매우 빨리 진행돼 연료가 소진됐고 100만년 안에 초신성으로 폭발했다. 이보다 질량이 작은 별들은 반대로 수십억년씩 장수를 누리고 있다.

한편 원시별의 폭발에서 나온 먼지와 가스는 재활용돼 차세대 별들을 만들어내며 제3세대 별로 보이는 우리 태양은 오늘날 기준으로 전형적인 별의 질량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질량이나 특성과 상관없이 은하들을 구성하는 이런 별 탄생의 역사를 밝히면 은하들이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알 수 있다.

연구진은 다양한 망원경을 통해 별들이 태어나는 은하 속 가스와 먼지 구름에서 나오는 빛을 관찰한 결과 지난 110억년 동안 우주에서 태어나는 별의 수가 꾸준히 줄어들었음을 발견했다.

주저자인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데이비드 소브랄 교수는 "우주는 아주 오래 전부터 심각한 만성 `위기'를 겪고 있다. 오늘날 우주의 GDP는 전성기에 비해 3%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감소 추세가 지속된다면 우주의 남은 수명 중에 새로 태어날 별들은 기존 별 수의 5%가 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는 우주가 늙은 별에 지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베이비 붐' 시대에 태어난 별들 중 절반 가량이 110억~90억년 전 사이에 태어났으며 나머지가 태어나는데는 이보다 5배의 시간이 걸렸다"고 지적했다.

소브랄 교수는 "우주의 미래는 암울해 보일지 몰라도 우리가 새 별을 낳는 건강한 은하에 살고 있다는 건 매우 큰 행운"이라면서 이런 현상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새 과제라고 말했다.

http://news.nate.com/view/20121107n07178?mid=n06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