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성지리24

'은하계 단위'에서도 검증..또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전문가의 세계 - 이명현의 별별 천문학] (21) '은하계 단위'에서도 검증..또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http://v.media.daum.net/v/20180705214102710?rcmd=rn 2018. 7. 5.
지구 문명은 우주에서 몇단계 수준에 해당할까 지구 문명은 우주에서 몇단계 수준에 해당할까 박상준 입력 2018.04.16. 15:30 지구의 모습.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100% 쓸 수 있다면 인류는 카르다쇼프 척도로 1단계 문명이 될 수 있다. /사진=NASA [박상준의 사이언스&퓨처-8]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천문현상 중에 '감마선 폭발'이라는 것이 있다. 약자로 'GRB'(Gamma Ray Burst)라 부르는 이 현상은 블랙홀 못지않게 우주의 가장 큰 수수께끼 중 하나이다. 1초도 안 되는 찰나의 순간에 태양이 평생 동안 방출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뿜어져 나온다면 믿어지는가? 그러나 감마선 폭발은 실제로 존재하는 현상이다. 뿐만 아니라 하루에 한 번 꼴로 관측되는, 우주에서 아주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10밀리 초에서 수 시.. 2018. 4. 16.
[스페이스]우주선의 스윙바이, 공짜 아닙니다 [스페이스]우주선의 스윙바이, 공짜 아닙니다. 지구로부터 두 번이나 속도를 훔쳐 목성까지 간 '갈릴레오'[사진출처=NASA]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우주선이 행성(별)의 중력 등 에너지를 이용해 가속하는 방법을 '스윙바이(swingby)'라고 합니다. 중력도움(gravity assist), 플라이바이(flyby)라고도 부릅니다. 우주선이 공전하는 행성의 뒤를 따라가다 행성의 중력과 자전 등에 스스로 말려들어 그 에너지를 역이용해 새총처럼 튕겨 나간다고 해서 새총쏘기(슬링숏), 우주의 당구치기라고도 불립니다. 영화 '인터스텔라', '아마겟돈' 등에서도 무수히 언급됩니다. 스윙바이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지구를 벗어난 우주선이 목성, 토성, 천왕성 등 먼 곳에 있는 행성까지 한번에 갈 수 없어서입니다. 초.. 2018. 2. 9.
테슬라 로드스터, 가즈아 우주로! 엘론 머스크는 왜 우주선에 차를 실었나? 테슬라 로드스터, 가즈아 우주로! 엘론 머스크는 왜 우주선에 차를 실었나?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입력 2018.02.06 13:03 http://v.auto.daum.net/v/okXtTP47vg 2018. 2. 6.
[이광식의 천문학+] 지구 속도는 초속 몇 km? 자전 멈추면 '종말' [서울신문 나우뉴스] 당신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만약 당신이 책상 앞에 앉아서 이 글을 읽고 있는 중이라면, 당신은 아무런 움직임도 없이 가만히 멈추어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착각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당신은 무서운 속도로 공간이동을 하고 있는 중이다. 어떻게 그것을 알 수 있는가? 간단하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올려다보면 바로 알 수 있다. 태양이 지평선에 걸려 있는 저녁시간이면 더욱 좋다. 저녁놀 속으로 시시각각 내려앉는 태양이 바로 그 증거다. 그것은 사실 태양이 가라앉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반대로 돌고 있기 때문이다. 160만km 밖의 우주공간에서 DSCOVR 위성이 잡은 지구의 모습.(사진/NASA) 옛날 사람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천동설을 믿었지만 지금은 지동설.. 2016. 8. 26.
민간 우주탐사, 태양계 어디까지 가봤니? 민간 우주탐사, 태양계 어디까지 가봤니? 미국의 민간 우주선 개발업체 ‘스페이스엑스(X)’의 2단형 액체로켓 ‘팰컨9’이 지난해 9월8일 미국 플로리다 공군기지에서 통신위성 ‘아시아샛6’를 싣고 발사되는 장면. 팰컨9은 내년 4분기 한국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위성 5A호’를 싣고 발사될 계획이다. 스페이스엑스 제공 [토요판] 별 ▶ 1969년부터 3년 동안 여섯 차례나 달에 사람을 보냈던 나사(NASA)는 1972년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유인 달 탐사를 중단했습니다. 이후 43년 동안이나 인류는 지구 궤도를 벗어나보지 못했습니다. 국가 차원의 우주 탐사가 예산 등의 문제로 지지부진한 동안 민간의 우주산업은 2000년대 이후 조금씩 고개를 들기 시작했습니다. 자비로 우주여행을 다녀온 이도 있었습니다. 국.. 2015.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