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성지리24

우주지리 도입의 필요성. by GeoPlanet Erasmus. 지난 수십 동안 우주 탐험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다른 행성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구 전문가(지질학자, 자연지리학자, 지구화학자)의 국제적 수준 참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지리과학의 발전이 가능해졌습니다. 지리과학은 관찰, 실험 및 모델링 분야의 전문 지식을 결합한 학제간 접근 방식입니다. 세계에는 천체 물리학 및 천문학, 행성 지질학, 행성 및 지리과학 분야의 많은 석사가 존재하지만 현재 이러한 모든 분야를 통합하고 행성지리 연구에 대한 통합 전문 지식을 제안하는 교육은 거의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가 가진 통합적인 지리적 지식을 외부행성에 대한 연구와 강의로 넓혀가야 할 시점입니다. 이에 대한 제목을 우주지리라고 칭하고자 합니다. 그 옛날 배를 항해하며 지도를 그려나갔던.. 2023. 9. 13.
NGC 4651 은하 출처: scitechdaily.com/dont-be-fooled-by-the-peaceful-look-of-this-vast-galaxy-it-keeps-a-violent-secret/ 2020. 11. 6.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 천체' 추정 혜성 또 발견 NASA "태양 주변 공전하지 않는 궤도...태양계 통과해 갈 듯"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584&aid=0000005922 2019. 9. 16.
거대 우주 식민지 '다이슨 구' 프로젝트 거대 우주 식민지 '다이슨 구' 프로젝트 인류의 상상력은 끝이 없다. 더욱이 우주에 관한 상상은 말할 것도 없다. 항성 둘레를 둥글게 둘러싼 반지 모양의 구조물인 링월드(Ring world)를 넘어 태양과 같은 항성을 통째로 감싸는 거대한 공 모양의 '다이슨 구(Dyson sphere)'까지 상상하고 있다. 1970년대 발표된 래리 니븐(Larry Niven)의 SF소설 '링월드'는 반지름 1억5000만㎞의 반지 모양 인공 구조물인 태양계의 경우 지구 공전 궤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면서 반지가 회전해 원심력으로 안쪽 면에 인공중력을 만들어 인류가 살아간다는 것이다. 인류는 이 엄청난 규모의 우주 인공 구조물인 링월드보다 더 크고 장대한 상상을 하고 있다. 바로 태양과 같은 항성을 통째로 감싸는 거대한 공.. 2018. 12. 27.
[우주를 보다] 50년 전 달에서 본 '지구돋이'..블루마블의 진실 [우주를 보다] 50년 전 달에서 본 '지구돋이'..블루마블의 진실 50년 전 크리스마스 이브, 아폴로 8호 승무원들이 달 궤도에서 본 ‘지구돋이’ 광경. ‘블루 마블’이라는 이름을 얻은 이 사진은 우주탐험사상 가장 유명한 사진이 되었다. (출처=NASA, Apollo 8 Crew, Bill Anders; Processing and License: Jim Weigang) “세상에! 저것 좀 봐! 지구가 떠오르고 있어. 저렇게 아름다울 수가!” 이 외침이 있은 직후, 바로 50년 전 크리스마스 이브 날, 우주 탐험사상 가장 유명한 사진 한 컷이 찍혔다. 달 궤도를 돌던 아폴로 8호 승무원들이 캄캄한 흑암의 우주를 배경으로 달의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광경이 카메라 렌즈에 담긴 것이다. ‘지구돋이’란 이름으로.. 2018. 12. 26.
[우주를 보다] 서로 마주보며 맞도는 희귀 '쌍소행성' 발견 [우주를 보다] 서로 마주보며 맞도는 희귀 '쌍소행성' 발견 입력 2018.07.13. 10:36 수정 2018.07.13. 11:06 사진=Arecibo/GBO/NSF/NASA/JPL-Caltech 서로를 바라보며 맞돌고 있는 신기한 소행성이 관측됐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 근접 소행성(near-Earth asteroid)인 '2017 YE5'가 한개가 아닌 두개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21일 처음 발견된 2017 YE5는 지름이 약 900m 정도의 소행성으로, 당초에는 당연히 한개의 소행성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난달 21일 2017 YE5가 지구 최근접 거리인 600만㎞까지 다가오면서 그 정체가 밝혀졌다. 캘리포니아주(州)에 있는 골드스톤 태.. 2018.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