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갤러리&문서

개념기반 교육과정이란?

by GEOSTAR 2023. 11. 15.

사실적 지식이나 기능을 너무 강조하면 학생들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대부분의 교육과정 문서들은 주제와 사실들을 강조하고 더 큰 개념들은 생략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을 낮은 수준의 학습에 가두고 있다(). 나무와 같은 사실적 지식은 전이가 불가능해 배운 것을 실제 삶에 활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사실적 지식의 습득은 깊이 있는 사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암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시험만 보고 나면 곧 잊어버리는 지식이다. 이런 피상적 지식(superficial knowledge)은 비판적 사고나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적 지식의 한계를 뛰어 넘어 실생활에 활용이 가능한 높은 수준의 지식이 개념적 지식(일반화, 빅 아이디어)이다. 개념기반 수업의 목적은 전이 가능한 지식을 익히고 배우자는 것이다. 개념기반 수업으로 나아가자는 것은 지식·기능 중심의 2차원적 수업에서 지식·기능·이해 중심의 3차원 수업으로 나아가자는 것이고 이는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대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전통적 학습과 개념기반 학습의 차이를 이해시킨다.

전통적 학습과 개념기반 학습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 예시를 보자.

▶ 전통적 학습의 ‘건강 단원’ 예시(Julie Stern et al., 2018)

♣ 단원 제목: 건강한 식생활
• 1차시: 학생들은 영양소가 있는 식품과 영양소가 없는 식품의 차이를 설명할 것이다.
• 2차시: 학생들은 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 음식을 분류할 것이다.
• 3차시: 학생들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이다.
• 4차시: 학생들은 건강에 해로운 식생활의 영향과 식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 5차시: 학생들은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울 것이다.

 

▶ 개념기반 학습의 ‘건강 단원’ 예시(Julie Stern et al., 2018 변형)

♣ 단원 제목: 건강한 식생활의 맥락에서 선택과 의사결정
• 일반화: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 본질적 질문: 음식에 대한 선택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탐구 사이클:
·맥락#1: 에너지
·맥락#2: 수면과 기분
·맥락#3: 면역체계

 

각 맥락은 이전 맥락에 비해 복잡성이 증가한다. 이 단원의 경우 맥락#1의 에너지를 학습할 때 학생들이 신체가 음식을 분해하는 방식과 음식으로 무엇을 하는지를 탐구하면서 복잡성이 증가한다. 다음 맥락#2의 영양분이 신체의 수면 요구와 기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때 다시 복잡성이 추가된다. 그 다음 맥락#3에서 면역체계의 기본 사항과 음식이 어떻게 면역체계를 강화하거나 약화하는지를 탐구할 때 복잡성은 다시 증가한다.

 

이어서 전통적 학습과 개념기반 학습의 차이를 흥미 있게 설명한 것이 있어서 소개한다.

 

 

출처 및 더 자세한 내용은 https://21erick.org/column/8627/

댓글